2 minute read

10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

소프트웨어 테스트

  • 결함집중 : 오류의 80%는 전체 모듈이 20% 내에서 발견
  • 살충제 패러독스 : 반복적 테스트는 새로운 버그를 찾지 못함
  • 오류 - 부재의 궤변 :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면, 결함이 없다고 해도 품질이 높다고 볼 수 없음


소프트웨어 테스트 유형

  • 정적 테스트 : 대상을 실행하지 않고 구조 분석
  • 동적 테스트 : 실행하는 방식으로 테스트 수행(화이트,블랙박스테스트)


화이트박스 테스트 : 내부 구조와 동작을 검사하는 테스트

  • 구문 커버리지 : 적어도 한번 수행
  • 결정 커버리지 : 전체 조건식이 참,거짓 결과 수행
  • 조건 커버리지 : 각 개별 조건식이 적어도 한번 은 참과 거짓
  • 조건/결정 커버리지 : 전체,개별 참,거짓 한번 수행
  • 변경 조건/결정커버리지 : 조건/결정 커버리지 향상
  • 다중 조건 커버리지 : 모든 개별 조건식 조합100%보장
  • 기본 경로 커버리지 : 모든 경로 테스트
  • 제어 흐름 테스트 : 그래프 행태로 나타내어 로직 테스트
  • 데이터 흐름 테스트 : 그래프에 사용현황 추가


블랙박스 테스트 : 사용자의 요구사항 명세를 보면서 수행하는 테스트

  • 동등분할 테스트 : 입력 데이터의 영역을 유사한 도메인 별로 유,무효값 그룹핑
  • 경계값 분석 테스트 : 등가 분할 후 경계값 포함하여 테스트
  • 결정 테이블 테스트 : 테이블 형태로 나열
  • 상태 전이 테스트 : 객체의 상태를 구분
  • 유스케이스 테스트 : 프로세스 흐름을 기반으로 테스트 케이스 명세화 하여 수행하는 테스트 기법
  • 분류 트리 테스트 : 트리구조로 분석
  • 페어와이즈 테스트 : 최소한 한번씩 조립
  • 원인-결과 그래프 테스트 : 그래프를 활용하여 미치는 영향 분석
  • 비교 테스트 : 여러 버전의 프로그램에 같은 입력값을 넣어 비교


테스트 시각에 따른 분류

  • 검증(verification) : 개발 과정을 테스트
  • 확인(validation) : 결과를 테스트


테스트 목적에 따른 분류

  • 회복 테스트 : 고의로 실패를 유도하고, 정상 복귀 여부 테스트
  • 안전 테스트 : 보안적인 결함을 미리 점검
  • 성능 테스트 : 사용자 요구에 시스템이 반응하는 속도 측정 기법
  • 구조 테스트 : 소스 코드 복잡도 평가
  • 회귀 테스트 : 새로 유입된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는 반복텍스트 기법
  • 병행 테스트 : 동일한 데이터 입력 후 결과 비교


상세 유형

  • 부하 테스트 : 임계점을 찾은 테스트
  • 강도 테스트 : 임계점 이상 부하를 가함
  • 스파이크 테스트 : 짧은 시간에 사용자가 몰릴때
  • 내구성 테스트 : 오랜시간 동안 높은 부하


테스트 오라클 종류

  • 참 오라클 : 모든 입력값에 대하여 결과 생성
  • 샘플링 오라클 : 특정 몇개에 대하여 결과 생성
  • 휴리스틱 오라클 : 특정 입력값 올바른 결과, 나머지 값 휴리스틱으로 추정
  • 일관성 검사 : 애플리케이션 변경이 있을 때, 수행 전과 후의 결과가 동일한지 테스트


테스트 레벨

  • 단위 테스트 : 단위 모듈,서브루틴 테스트
  • 통합 테스트 : 통합된 컴포넌트 간의 상호 작용 검증
  • 시스템 테스트 : 시스템에서 정상적으로 수행하는지 테스트
  • 인수 테스트 : 요구사항이 만족되었는지 테스트


10 - 2 애플리케이션 통합 테스트

단위 테스트 : 개별적인 모듈을 테스트 한다


목 객체 생성 프레임 워크

목 객체 유형

  • 더미 객체 : 객체만 필요하고 기능은 필요없을 때
  • 테스트 스텁 : 타 모듈의 기능을 수행
  • 테스트 드라이버 : 대상 하위 모듈 호출
  • 테스트 스파이 : 출력 검증할때 사용
  • 가짜 객체 : 실제 클래스의 기능을 대체할때 사용


10-3 애플리케이션 성능 개선

측정 지표

  • 처리량 : 주어진 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의 수
  • 응답시간 : 응답 출력이 개시될때까지의 시간
  • 경과 시간 : 트랜잭션 처리 후, 그 결과의 출력이 완료할때 까지의 시간
  • 자원 사용률 : CPU사용량, 메모리 사용량

베드 코드 : 로직을 이해하기 어렵게 작성된 코드

  • 외계인 코드 : 유지보수 어려운 코드
  • 스파게티 코드 : 코드가 복잡함


클린 코드 : 중복 최소화, 가독성이 높음

카테고리:

업데이트:

댓글남기기